충청남도 산림분야 최상위 계획으로 제6차 산림기본계획과의 연계성 및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종합적 산림행정으로서 바람직한 미래상을 제시하고 발전방향을 구상하기 위함
법적근거 : 「산림기본법」제11조, 동법 시행령 제5조 내지 6조
① 제6차 지역산림계획 수립 방향 전환에 따른 전략계획 수립
기존의 물량중심의 계획에서 장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계획의 목표와 방향을 제시
산림청에서는 계획기간 변경에 따라 지역산림계획을 전략계획화 하고 5년마다 타당성을 검토하게 함으로서 산림기본계획의 실효성을 제고하도록 하였음
② 시·군 현황조사를 통해 지역 요구사항을 Bottom-up 방식으로 반영
시군관리계획 부재에 따른 지역산림계획의 영향력 미비점 등을 보완하고 지역마다 특색 있는 산림 조성이 가능하도록 협의계획 수립
③ 행정단위가 아닌 생태적·환경적 산림관리가 가능하도록 ‘유역’의 개념을 도입하여 국·사유림 및 행정구역간 거버넌스 시도
유역을 공유하고 있는 시군끼리의 의견을 공유하고 공동 관리목표를 수립하도록 하였으며, 향 후 국·사유림을 공동관리 할 수 있는 기반 마련
④ 산림분야 공간자료를 분석·활용하여 산림, 산지 및 생물권(인간 및 생태계)를 고려한 공간 계획을 수립
중권역 유역도, 산림기능구분도, 생태경제권역도, 산지유역유형 구분도 활용 우리 도 산림의 특성에 따른 공간기반 장기적인 보전ㆍ이용 전략 제시
숲으로 그린 행복 충남
-
생활환경 서비스 확대
도시림으로서의 산림서비스 기능 고도화
산림을 통한 미세먼지 저감과 대기정화 기능 강화
-
관광자원으로서의 산림가치 증진
수자원 관리 및 산림역사 문화관광 기능 육성
산림환경자원 보전 및 시·도림을 활용한 생태관광 기능강화
해안도서형 산지경관자원 보전 및 휴양기능 강화
-
전통적 산림산업 기능 강화
소득작물 중심의 임농복함 공간 구현
지속가능한 산림관리와 6차 임업(목재+관광)
현명한 산림이용 및 자원관리
소득 창출, 주변 생활권 확보, 관광자원으로써 산림을 활용하는 장기계획을 주민 스스로 그려나가자는 의미를 담은 ‘그리다’와 숲세권 ‘Green’ 도시 충남이라는 두 가지 의미
산림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으로 도시, 산촌, 환경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균등한 산림서비스 권리 확보
서해안 권역을 중심으로 해안림 등 관광기반이 구축된 지역은 활성화를, 기반이 부족한 지역은 경관·생태·체험 관광 기반조성을 통해 관광자원으로서의 산림가치 발굴·증진
남동부 지역의 산림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대상으로는 목재생산, 산림소득작물 등을 통해 산림관련 종사자들의 수익 지속 확보
<공간기본단위와 공간구상>
추진전략 | 26개 주요과제 |
---|---|
1. 산림자원 및 산지 관리체계 고도화 | - 사람 중심의 산림통합관리 기반 마련 - 충남 산줄기 생태축 대통합권 구축 - 도서지역 산림경관 관리 체계 구축 -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를 위한 기반 구축 - 충남 산림골재 자원관리 기반 조성 |
2. 산림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 - 산림자원을 활용한 6차 임업 기반조성 - 4차 산업과 연계한 산림관리 정보화 - 산림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신산업 발굴 |
3. 임업인 소득 안정(향상) 및 산촌 활성화 | - 임농복합경영을 위한 소득 산업 육성 - 약용식물 생산 증진 및 고도화 - 산촌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소통·지원체계 확립 - 사유림경영 활성화 유도 |
4. 일상속 산림복지체계 정착 | - 숲·걷는 길 통합관리 체계 구축 - 도시림으로서의 산림서비스 기능 고도화 - 산림복지·휴양서비스 기반 확산 - 해안도서형 산림자원 관리를 통한 기능 강화 - 시·도·국유림을 활용한 산림관광자원 패키지화 |
5. 산림생태계 보전 강화 | - 충청남도 산림보호지역 관리 기반 구축 - 주요 훼손지 관리 및 복원 기능 강화 - 현명한 산림이용 및 자원 관리체계 구축 - 산림생물자원 보호 및 관리 |
6. 산림재해 예방과 대응을 통한 국민안전 실현 | - 기후변화 대응 해안림 조성 및 관리 - 산림재해 예방 및 안전관리 - 산림 병해충 종합관리 체계 구축 |
7. 국제산림협력 주도 및 한반도 산림녹화 완성 | - SDGs달성에 기여하는 국제산림 협력 강화 - 통일시대 대비 통합적 산림협력 추진 |